후불결제(BNPL)이 파생하는 다중채무 확대, 시장원리로 해결?

연체하더라도 다른 회사에서 다시 연체 가능해 다중채무 조장 우려 네이버페이 후불결제 연체율, 신용카드 연체율보다 높아 BNPL, 단점도 있지만 폭넓은 시장경제 활성화 조장

pabii research

 

사진=본사DB

네이버파이낸셜·카카오페이·토스로 대표되는 핀테크 기업들의 후불결제(BNPL·Buy Now Pay Later) 서비스를 두고 저신용자들의 다중채무 확대를 부추길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BNPL이란 물건을 먼저 구매하고 나중에 비용을 지불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그 특성상 이용자의 연체 정보를 사업자 간 공유할 법적 근거가 없기 때문에 다중채무가 조장된다는 우려다.

현재 네이버파이낸셜은 월 30만원 한도의 네이버페이 후불결제, 카카오페이는 월 15만원 한도의 모바일 후불교통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는데 금융위는 이 세 회사에 별도의 정보 공유 의무를 두지 않고 있다. 토스 연체자가 네이버파이낸셜이나 카카오페이에서 또 연체해도 이들 회사는 현황 파악이 불가능한 것이다. 5만원 이상의 신용카드 대금을 3개월 이상 연체하면 한국신용정보원을 통해 연체 정보를 등록 및 여신 사업자 간 정보를 공유하게 한 조치와 대비되는 부분이다.

BNPL, 2030들에게 매력적이나 연체율 확대라는 부작용

BNPL이 확대되는 이유로는 소비자들의 심리를 잘 공략하는 측면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많은 소비자는 가까운 미래에 누리는 혜택과 보상의 가치는 높게, 먼 미래에 대한 가치는 낮게 평가하는 쌍곡할인(hyperbolic discount) 성향을 보인다. 미래의 비용으로 현재의 만족을 충족시켜주는 BNPL이 소비자들의 니즈와 부합하는 것이다. 본질에 있어 신용카드 할부 결제와 비슷하지만, 발급 절차가 간단하고 할부 수수료가 없어 신용카드 발급이 어렵거나 신용카드를 기피하는 2030세대들에게 매력적인 옵션으로 다가가는 것이다.

지난 3월 기준 네이버페이 후불결제 고객의 연체율(1개월 이상)은 1.26%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신용카드 연체율(0.54%)의 2배가 넘는 수치이다. 네이버페이의 경우 후불결제 후 연체가 되면 하루 약 0.033%, 연 12% 정도의 연체 수수료가 부과되고, 영업일 기준 5일 이상 연체 시 개인 신용 등급이 하락할 수 있다.

사진=본사DB

BNPL, 꼭 금융당국 규제에 맡겨야 하나

다중채무자 증가세는 무시하지 못할 만한 수준이다. 다중채무자는 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경우이며, 특히 20대의 다중채무자와 가계대출 증가세가 심상치 않다. 2021년 기준 20대 연령층의 다중채무자 수는 36만 9,000명으로 2년간 22%나 증가했다. 다중채무자의 대출금액도 2021년 기준 23조에 달한다.

2030세대를 중심으로 하는 다중채무자의 연체는 금융기관의 연대 부실로 이어질 수 있기에 위험성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여러 선진국들은 BNPL 관리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초 영국 금융행위규제청(FCA)는 BNPL 서비스 시장에 대한 감독 강화 필요성을 담은 보고서를 발표했고, 그해 말 미국 소비자금융보호국(CFPB)는 주요 BNPL사들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일각에선 BNPL과 관련된 연체율이나 다중채무 확대 문제를 금융당국의 규제에 맡기는 것에 의문점을 들었다. BNPL의 경우 지급결제 시장에서 신용카드의 영향력을 축소하며, 신용카드사의 이익을 위협하고 수익 기반을 축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용카드사들은 ▲ 고객들의 빅데이터 확보에 앞서며 ▲ 개별 신용카드 기반이 아닌 고객 계좌 기반의 신용카드 제품혁신 ▲ 개인의 모든 금융 생활 서비스의 생태계 자체를 지원할 수 있는 스마트 생활금융 모델 도입 등으로 맞서고 있다. 이 과정을 통해 BNPL과 신용카드 간의 경쟁이 벌어지고 있으며, 좀 더 합리적인 운용을 하는 금융서비스가 자유시장에서 선택될 것이다.

즉 정부 규제로 문제를 해결하기보다는 다양한 형태의 금융서비스들이 등장하는 것을 장려해 시장에서 좋은 모델이 선택되도록 하는 것이 최선책이다. 이미 현대카드가 7월 초 후불결제 서비스인 ‘카드 없이 분할결제’를 도입했다. 국내 카드사 중 후불결제 서비스를 도입한 첫 사례다.

Similar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