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전기차 충전소’ 주소 검색으로 찾는다, ‘입체주소’ 도입하면 건물 안에서도 찾을 수 있어

서울시 ,전기차 충전소에 사물주소를 도입 ‘티맵’서도 검색 가능 전기차 보급률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충전 인프라, 불만 폭증 전기차 충전소에 입체 주소 도입해 사용자 편의성 끌어올려야

pabii research
사물주소가 부여된 가로등형 전기차 충전기에서 충전하는 모습/사진=서울시

앞으로 티맵에서도 전기차 충전소를 쉽게 검색할 수 있게 된다. 서울시는 전기차 이용자가 더욱 빠르고 편리하게 충전기를 찾을 수 있도록 전기차 충전소에 사물주소를 도입한다고 24일 밝혔다.

앞서 서울시는 가로등형, 집중형 충전시설 등 옥외 설치 19기를 포함한 91기의 충전기에 사물주소를 적용했으나, 길도우미앱에서 검색되지 않은 탓에 많은 이용자가 충전소를 찾는 데 불편함을 겪었다. 이에 서울시는 모빌리티사, 충전사업자, 충전플랫폼사업자와 만나 사물주소 도입 및 위치정보 정확성 확보방안 등을 협의하고, 충전기 주소를 길도우미앱에 반영하기로 했다.

사진=서울시

이동 중에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사물주소판 설치

서울시는 오는 8월까지 옥외 급속충전기 200기에 주소를 부여해 길도우미앱(티맵)과 충전플랫폼(티비유-일렉베리)에 위치정보를 제공하고, 이후 단계적으로 서울지역의 모든 급속충전기에 적용해 나갈 방침이다. 이어 12월까지 서울시내 옥외ㆍ도로변 등 급속충전기 1,000기, 내년 6월까지 건물 내 급속충전기를 포함한 총 1,800기에 대한 위치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서울시가 운영 중인 전기차 충전소에는 이동 중에도 위치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사물주소판을 설치했으며 특히 대로변 전기차 충전소 등 야간 이용이 많은 곳에는 태양광 LED 사물주소판을 설치했다. 이 같은 사물주소 고도화는 그동안 구현하기 어려웠던 이동 충전소 위치 인식, 자율주행차 주차 및 자율 충전, 복잡한 건물 내 충전소 안전 관리 등 미래 충전 산업의 기반을 조성하는 견인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시는 향후 모빌리티사, 충전플랫폼사와의 기술협력을 통해 건물 내부에 설치된 충전시설까지 주소를 부여하고 길도우미앱에 반영할 예정이다.

이인근 기후환경본부장은 “휴대폰으로 QR간편결제와 금번 전기차 충전소의 사물주소 도입하는 등 이용자의 충전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전기차 충전 기반 확대와 더불어 충전편익 향상을 위한 신기술을 적용하는 등 도시형 충전 기반 모델을 만드는 데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어린이대공원 충전소/사진=서울시

전기차 40만대 육박한 반면, 충전 인프라는 절반 수준 

전 세계 전기차 매출이 누적 1조 달러(약 1,283조원)를 돌파했다. 최근 들어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올해에만 관련 매출이 5,000억 달러(약 641조원) 이상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특히 지난해 우리나라 전기자동차 누적 등록 대수가 40만 대에 육박한 가운데, 전기차 판매량에 비해 전기차 충전소 증가세가 부진하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국토교통부와 환경부에 따르면 작년 국내 전기차 보급 대수는 39만 대로 전년 대비 68.4% 증가했다. 그러나 이러한 전기차의 보급 대수에 비해 충전 인프라 보급은 20만5,305개로 전기차 보급 대수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국내 전기차 보급률 1위인 제주 지역은 더 심각하다. 제주도에는 2022년 기준 3만2,976대의 전기차가 보급된 데 반해, 전기차 충전기는 5,689기에 그쳤다. 충전기 1기당 전기차 5.39대를 맡고 있는 셈이다. 충전기 1기당 전기차 비율이 경기도 1.7대, 세종 1.7대, 광주 1.7대, 서울 1.9대인 것과 사뭇 비교되는 수치다.

최근 정부의 전기차 인프라 확대 의지와 함께 충전기 보급률이 증가하고 있지만, 정작 필요한 곳에는 충전기가 없어 사용자들은 여전히 큰 불편을 겪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전기차 사용자들은 전기차 인프라 부족만큼이나 충전소를 찾는 데에도 상당한 불편을 겪어 왔다. 전기차 충전소의 고유 주소가 없는 탓에 그간 포털 검색, 인터넷 카페를 통한 정보 공유에 의존하거나 EV인프라앱과 같은 전기차 충전정보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해야 겨우 찾을 수 있었던 만큼, 이번 사물 주소판 설치가 이용자들의 불편을 조금이나마 해소해 줄 것으로 보인다.

박태준 전기차 칼럼니스트는 “정부가 매년 수만 기의 충전기를 보급해 보급률은 세계 1위가 됐지만 소비자 접근성은 떨어져 필요한 장소엔 충전기가 없거나, 있어도 고장난 채로 방치된 경우가 많다”며 “사람들이 충전 시설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이유”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가 보조금을 소비자가 아닌 충전사업자에게 지불하기 때문에 실제 사용자 환경과 관계없이 충전기가 구축되는 게 가장 큰 문제”라고 부연했다.

출처=입체주소 부여 예시/사진=주소정보누리집(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사물 주소에 더해 입체 주소까지 구현해야

지난 16일 행안부는 국민 생활 편의 제고를 위한 입체 주소체계 도입 및 주소정보 기반 산업 육성을 위한 ‘디지털 주소정보 플랫폼’을 구축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2021년 ‘도로명주소법’ 전면 개정에 따라 새롭게 도입된 입체 주소체계를 시스템에 구현해 지금까지 지상도로와 건물에만 부여해 왔던 도로명주소를 입체도로(고가·지하 등)와 사물, 공간 등에 확대 부여할 수 있도록 관련 기능을 개발한다는 게 주요 골자다. 즉 기존에 건물 출입구에만 부여했던 도로명주소를 건물 내부 동·층·호까지 부여할 수 있고, 지하상가에도 개별적으로 주소가 부여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전기차 충전소에 단순히 주소만 배정하는 게 아닌, 이러한 입체주소까지 도입해 건물 안에서도 충전소를 찾을 수 있도록 편의를 끌어올려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전기차 보급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한국에서는 충전 인프라 확충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다. 국민신문고에 따르면 전기차 충전소 관련 민원은 최근 5년간 총 3만1,102건으로 해마다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 중에서 충전 방해, 충전소 위치 안내 등 충전 시설 관련 내용이 91.0%(2만801건)로 가장 많았다.

한 전기차 산업 관계자는 “충전 인프라는 전기차 보급을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라며 “그런데 충전소가 가까이 있어도 검색이 쉽지 않아 이를 모르고 있는 이용자도 상당수”라고 밝혔다. 이어 “전기차 충전기를 마치 휴대전화를 충전하듯이 상시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정책 도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탄소배출 저감을 위해 막대한 보조금을 쏟으며 전기차·수소차 등 친환경 차량을 장려하고 있다. 그러나 미래형 차량들을 달리게 할 충전 설비는 턱없이 부족하다. ‘충전소를 찾지 못할까 우려돼 전기차 운전하기가 겁난다’는 말이 나오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미래산업의 대표 격이라 할 수 있는 친환경 자동차도 불편을 동반한다면 성장을 보장할 수 없을 것이다.

Similar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