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소부장 기업의 생존 전략은 ‘FC-BGA’?, ‘백부장’ 대만 이겨낼 수 있을까

pabii research
몸집 불리기 한계 다다른 기업들, 대세는 'FC-BGA'
수지타산 안 맞는 산업? "대만이 시장 꽉 잡고 있어"
단기간 인프라 형성 가능할까, 국내 기업 비추는 '불안의 눈동자'
FC-BGA_20240129
FC-BGA의 모습/사진=토판

삼성전기와 LG이노텍이 AI 핵심 부품 ‘플립칩-볼그리드어레이(FC-BGA)’ 시장에서 진검승부를 시작했다. FC-BGA는 AI용 반도체와 메인보드를 연결하는 차세대 기판으로, 최근 많은 데이터 처리를 요구하는 AI 반도체 수요가 늘면서 FC-BGA 시장도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생존을 위해 다양한 방향성을 모색하던 소부장 기업들의 시선이 점차 메인보드로 옮겨가는 모양새다.

FC-BGA 본격 양산 착수, 내년 2단계 생산 라인 가동

16일 전자 업계에 따르면 LG이노텍은 경북 구미 신공장 증설 준비를 마치고 FC-BGA 본격 양산에 들어갔다. 내년이면 2단계 생산 라인을 가동할 계획이다. 삼성전기는 올해 베트남 신공장을 가동할 예정이다. 베트남 증설 물량이 더해질 경우 FC-BGA 매출이 1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FC-BGA는 간단하게 이야기해서 반도체 칩을 메인 기판과 연결해 주는 반도체용 기판이다. 고성능 서버와 PC, 네트워크 등의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에 주로 사용된다. 일본의 마케팅·컨설팅 기업 후지키메라연구소에 따르면 글로벌 FC-BGA 시장 규모는 2022년 80억 달러(약 10조6,400억원)에서 2030년 164억 달러(약 21조8,000억원)까지 커질 전망이다. 시장 성장성이 상당히 높다는 의미다.

삼성전기와 LG이노텍이 FC-BGA 시장에 집중하기 시작한 건 기존 사업으론 더 이상 몸집 불리기가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현재 삼성전기는 카메라모듈과 적층세라믹커패시터(MLCC)를, LG이노텍은 카메라모듈을 주력사업으로 두고 있지만 스마트폰 판매가 둔화하면서 실적은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실제 삼성전기의 영업이익은 지난 2021년 1조4,869억원에서 지난해 6,562억원(증권사 전망치 평균)으로 줄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같은 기간 LG이노텍 영업이익도 1조2,642억원에서 8,389억원 수준으로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력 사업의 성장이 정체된 가운데 경기 침체까지 덮치면서 실적이 악화한 것이다. 이런 가운데서 싹트기 시작한 FC-BGA의 가능성은 이들 기업들에 있어 ‘기회의 땅’과도 같았다.

FC-BGA_LG_20240129
정철동 LG이노텍 사장(가운데) 등 주요 임원들이 구미 FC-BGA 신공장에서 진행된 설비 반입식에 참석하고 있다/사진=LG이노텍

높은 수요 전망에도 불안감 ‘증폭’

FC-BGA의 수요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자율주행, AI, 서버 등 고성능 반도체 칩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이에 필요한 FC-BGA 수요 역시 덩달아 늘어난 것이다. 이와 관련해 한 업계 관계자는 “FC-BGA는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고 만들 수 있는 기술력을 갖춘 기업도 많지 않아 높은 수익과 시장 확대가 기대되는 분야”라며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부품사들의 투자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이유”라고 설명했다. 기술적 발전보다 인력의 중요도가 더욱 높은 메인보드 계열 부품의 특성상 ‘투입하는 대로 산출값이 높아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은 점도 FC-BGA 열풍에 적잖은 지분을 차지하고 있다. 당초 수지가 맞지 않아 눈에 띄지 않던 사업이 각종 경제적 변동 아래 해봄 직한 사업으로 변모한 셈이다.

다만 삼성전기와 LG이노텍은 FC-BGA 시장에서 명백한 후발 주자인 만큼 적지 않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삼성전기는 2017년 FC-BGA 사업에 본격 진출했으며, LG이노텍은 시장 진입을 공식화한 2022년 첫 제품 양산을 시작했다. 반면 이미 유니마이크론, 이비덴 등 대만과 일본 업체들은 시장을 사실상 주도하는 단계에까지 올라섰다. 삼성전기는 대규모 투자와 기술 혁신을 통해 글로벌 고객사를 공략하고 시장에 진출한 이후 국내외 생산시설 구축에 1조9,000억원을 투입하는 등 여러 대책을 내놨으나 여전히 국내 업체의 FC-BGA 시장 점유율은 10% 안팎에 머물러 있는 모습이다. 현재 7위 수준인 글로벌 점유율을 3위까지 끌어올리겠다는 게 삼성전기의 구상이나, 세계적인 수준의 메인보드 생산국으로 떠오른 대만의 인프라를 이겨낼 수 있을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대만이 독점한 시장, 한국 기업 살아남을 수 있을까

메인보드 시장은 사실상 대만 기업이 독점하다시피 하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흔히 3대 메인보드 생산 기업이 불리는 ASUS(에이수스), GIGABITE(기가바이트), MSI 세 곳 모두 대만 기업인 데다 그다음으로 생산량이 많은 기업인 애즈락(Asrock)까지도 대만 기업이다. 근 몇 년간 메인보드 업계에선 네 기업 간의 치열한 경쟁이 있었을 뿐, 다른 기업은 거의 끼어들 틈도 찾지 못했다. 이 같은 대만 기업들의 강점은 바로 값싼 노동력이다. 통상 메인보드는 공정 과정에서 다른 부품과 비교해 특별히 복잡한 기술력은 필요치 않다. 상대적으로 공정이 간단하기 때문에 저렴한 인력이 원활하게 수급되는 대만의 현 상황은 메인보드 산업을 이어가는 데 있어 압도적인 이점으로 작용한다.

앞서 메인보드 산업이 수지가 안 맞는다 언급한 건, 이처럼 대만이 시장을 소위 모두 먹어버린 상태기 때문이다. 기존에 메인보드를 자체 생산해 쓰던 타 국가들도 ‘차라리 대만에 하청을 맡기는 게 더 이득’이라는 판단 아래 자국 내 메인보드 산업을 축소했다. 우리나라의 FC-BGA 사업에 우려의 목소리가 적지 않은 이유다. 더군다나 메인보드 생산은 큰 이윤을 남기기엔 상당히 힘든 사업 중 하나다. 상술했듯 제작에 특별한 기술력이 필요하지 않은 부품인 만큼 가격을 높게 책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결국 국내 기업들의 FC-BGA 사업이 성공하기 위해선 대만과 비견될 만한 생산 인프라를 갖추고 가격 경쟁력을 높여가면서도 이윤을 창출해 내야 한다. 첩첩산중을 앞에 둔 국내 기업에 기대보단 불안의 눈동자가 먼저 비치는 건 어쩔 수 없는 일이다.

Similar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