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투자자 한국·인도·베트남으로 간다” 부동산 시장에 불어든 ‘탈중국’ 바람

pabii research
속속 중국 탈출하는 투자자들, 부동산 시장 흐름 바뀐다
"언젠가 중국도 홍콩도 이길 것" 최대 수혜 국가는 인도?
피크 차이나론 부정하는 중국, 추가 성장 여지는
china_run_20240510

중국과 홍콩의 부동산 시장이 본격적인 ‘침체기’에 접어든 가운데, 이들 국가에 머무르던 부동산 수요가 한국 시장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최근 다국적 기업들의 ‘차이나플러스원’ 움직임이 본격화하는 와중에 한국을 비롯한 일부 아시아 국가가 반사이익을 누릴 것이라는 분석이다.

중국 부동산 수요, 서울로 간다

9일 블룸버그통신은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아시아 상업용 부동산 시장은 주로 홍콩과 중국이 주도했다”며 “그러나 중국 경기와 부동산 시장 침체로 인해 글로벌 기업의 시선은 한국과 인도, 베트남으로 옮겨졌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글로벌 종합 부동산 서비스 기업 CBRE의 자료를 인용, 올해 중국 대도시의 임대료가 최대 6%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블룸버그는 중국 상업용 부동산 시장이 산업계의 차이나플러스원 전략의 압박을 받고 있다고 평가했다. 차이나플러스원 전략은 기업이 중국 시장 내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 이외 국가로 투자를 늘리는 전략을 말한다. 거 캐피털파트너스의 굿윈 거 회장은 “미국과 중국 사이에 지정학적 긴장감이 유지되는 한 차이나플러스원 전략은 계속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특히 다국적 기업들의 차이나플러스원 전략은 한국 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CBRE는 서울 부동산 시장이 ‘공급 부족’ 상태라고 진단, 올해 임대료가 5%가량 상승할 것이라 전망했다.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제한된 재개발, 건축 시장의 위축 등이 임대료를 끌어올릴 것이라는 분석이다. 그러면서 서울의 입주율은 98%로 전 세계 주요 도시 중 가장 높다고 설명했다.

인도로 대규모 자금 유입될 가능성도

다만 업계 일각에서는 중국 시장에서 유출된 수요가 한국이 아닌 인도의 부동산 시장에 집중될 것이라는 전망도 흘러나온다. 인도는 글로벌 자본과 공급 라인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며 꾸준히 성장 가능성을 증명해 온 국가로, 특히 최근 들어 가파른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올해 초에는 잠시 홍콩을 제치고 ‘세계 4대 주식 시장’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620억 달러(약 84조원) 규모의 영국 헤지펀드인 마샬 웨이스(Marshall Wace)는 최근 인도를 미국에 이어 순매수 투자 대상 2위로 지정했다. 스위스 자산운용사 본토벨(Vontobel Holding AG)의 한 자회사도 인도 증시를 신흥 시장 중 최고로 꼽았고, 영국 자산운용사 야누스 핸더슨 그룹 역시 인도 펀드 회사 인수를 모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보수적인 성향을 띠는 일본의 개인 투자자들마저도 인도를 유망한 투자처로 인정하는 양상이다.

india-20240510
사진=unsplash

이 같은 인도의 성장세는 미국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에서도 확인됐다. 외신 등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미국 ETF 시장 내에서 인도 주식을 매입하는 주요 펀드들은 나란히 기록적인 유입을 기록했다. 반면 같은 기간 4대 중국 펀드에서는 약 8억 달러(약 1조1,000억원)에 달하는 유출이 발생했다. 중국 시장에서 유출된 대규모 자금이 인도 시장으로 흘러 들어가고 있다는 분석에 힘이 실리는 이유다.

중국은 “아직 성장할 수 있다”

중국 시장을 향한 글로벌 투자자들의 기대가 사실상 꺾인 가운데, 중국의 전문가들은 좀처럼 중국의 ‘경제 침체’를 인정하지 않는 분위기다. 류차오 베이징대학교 경영대학원장 겸 금융학과 교수는 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중국 경제에 대한 이해’ 강의에 참석, 최근 들어 급부상하고 있는 피크 차이나(Peak China·성장의 정점에 달한 중국)론을 부정하고 나섰다.

류차오 교수는 “아직 국내적·국제적으로도 중국이 활용할 수 있는 것이 많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지금의 5% 성장률을 상당 기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며 “중국의 성장이 정점에 달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중국 경제 및 사회 발전의 가장 큰 불확실성은 산업화를 통한 고속 성장 단계가 끝난 후 총요소생산성(TFP) 증가율을 유지할 수 있는지 여부”라며 현재 중국이 당면한 과제를 설명했다. 총요소생산성은 노동 생산성, 근로자의 업무 능력, 자본 투자 금액, 기술도 등을 복합적으로 반영한 생산 효율성 수치다.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