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CPI·PPI ‘우상향’에 엇갈리는 반응, “경기 둔화 가능성” vs “연초 영향”

pabii research
예상치 상회한 CPI, 시장 우려에 금리 인하 압박도 증가
월가 반응은 '냉담', "연초 보고서에 특별한 의미 둘 필요 없어"
일각선 금리 올려야 한단 의견도, 금리 인하 시기는 다시 '안갯속'
americadollarF_20240219

미국의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과 생산자물가지수(PPI) 상승률이 당초 예상치보다 높게 나옴에 따라 미국 경제의 연착륙 기대가 다시 커졌다. 해당 지표들로 인해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하 예상 시점이 하반기로 미뤄지면서 시장에선 미국 경제가 여전히 견조하단 시그널로 받아들여지는 모양새다. 다만 일각에선 이들 지표에 매몰돼선 안 된다는 경고도 나온다. 지표를 작성하는 기준에 따라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수 있으며, 경기 둔화를 걱정해야 할 수 있단 것이다. Fed에 대한 금리 인하 압박이 갈수록 심화하는 양상이다.

미 PPI 전월 대비 0.3% 상승, CPI도 올랐다

미 노동부는 지난 16일(현지 시각) 1월 PPI가 전월 대비 0.3% 올랐다고 밝혔다. 이는 0.1% 상승을 예상한 월가의 전망을 훨씬 웃도는 수치다. 앞서 지난 13일 발표된 지난달 CPI도 시장의 예상을 크게 상회했었다. 당시 미국 노동부는 지난달 CPI가 전년 대비 3.1%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의 예상치 2.9%를 상회하는 것이다. 이에 시장에선 낙관적인 반응이 나오지만, 정작 월가의 반응은 냉담하다. 물가 지표를 비롯해 △국내총생산(GDP) 등 성장 지표 △고용 지표 등이 지나치게 낙관적인 수치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월가는 CPI 상승세에 연초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연초에 기업들이 가격을 재설정하는 일회성 이벤트가 불러온 결과일 뿐이란 것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의료 및 자동차 수리와 같은 노동 집약적 서비스에서 가격 상승 폭이 컸는데, 이는 고용주들이 인건비 상승에 발맞춰 가격을 인상한 것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인건비 재조정 시점이 작용했을 뿐 전체 추세를 반영하기 힘들다는 뜻이다. 회계 및 컨설팅 회사인 EY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그레고리 다코도 “CPI 보고서가 예상했던 것보다 조금 더 뜨거웠지만 1월 보고서에 너무 많은 의미를 두는 것은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자리 증가 추세에도 지나친 기대는 금물이라는 반응도 쏟아진다. 미 노동부가 발표한 1월 비농업 부문 신규 일자리는 35만3,000개였다. 당초 예상치였던 18만5,000개를 두 배 가까이 상회한 수치지만, 주의해야 할 건 신규 일자리 35만3,000개 중 상당수가 실제 수치라기보단 계절적 요인을 감안해 노동부가 조정한 것이란 점이다. 매년 미국의 많은 기업이 연말연시를 앞두고 직원들을 고용했다가 1월에 해고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에 미국 노동부 소속 고용통계국은 계절적인 고용 패턴을 고려해서 수치를 조정한다.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통계에 따르면 계절 조정하지 않은 1월 비농업 부문 신규 일자리는 전달 대비 오히려 263만5,000명 줄었다.

market_financial_20240202

금리 인하 압박↑, 전문가들은 “글쎄”

이에 시장 일각에선 금리 인하 시기를 당겨야 한다는 목소리가 새어 나온다. 미 경제가 안정적으로 연착륙하기 위해선 금융당국의 결단이 필요하다는 논리다. 다만 이에 대해선 경제 전문가들의 의견이 엇갈린다. 당장 CPI 상승률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긴 했어도 장기적 관점에선 물가상승률 둔화 추세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재닛 옐런 미 재무부 장관은 지난 14일 “이번 CPI 상승세만 보고 장기적 추세를 보지 못하는 건 엄청난 실수가 될 수 있다”며 “실제론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문제가 되지 않을 정도의 보통 수준 물가로 돌아오고 있다”고 강조했다.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 또한 같은 날 “최근 발표된 1월 CPI 내 주택 관련 물가가 예상보다 높게 나왔으나 한 달 수치로 너무 많은 것을 보지는 않을 것이다”며 인플레이션에 대한 시장의 걱정을 일축했다.

금리를 오히려 올려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윌리엄 더들리 전 뉴욕 연은 총재는 “경제를 추락시키지 않고 인플레이션을 잡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과제”라며 “현재 5.25∼5.50%로 2001년 이후 최고 수준인 미국의 현 기준금리가 경제성장을 제약할 만큼 충분히 높지 않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금리 인상을 고려할 필요도 있다는 주장이다.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도 중립금리 상승 가능성과 관련해 더들리 전 총재와 유사한 입장을 밝혔다. 카시카리 총재는 이달 초 “팬데믹 이후 경제 회복기에 미국의 중립금리가 상승했을 가능성이 있고, 현재 기준금리 수준이 경제 상황을 제약할 정도로 높지 않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의견이 지나치게 엇갈리고 있는 가운데 전문가들 사이에선 “시장의 금리 인하 압박이 심화하고 있음에도 Fed가 실제 금리 인하를 앞당길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의견이 주를 이룬다.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