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코에 NPL 2,000억원 매각한 새마을금고, NPL 부담 여전해 추가 매각은 ‘요원’할 듯

pabii research
새마을금고 NPL 매입 나선 캠코, "지난해 1조원 이어 올해 2,000억원"
NPL 처리 방안 모호한 새마을금고, "MCI대부도 한계 다다라"
금융업계서도 볼멘소리, "사실상 정부가 편의 봐주는 것 아니냐"
MG_KFCCC_20240425
MG새마을금고중앙회/사진=MG새마을금고

올해 들어 연체율 수직상승을 이룬 새마을금고가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 2,000억원 규모의 부실채권(NPL)을 매각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새마을금고는 앞서 지난해 말에도 캠코에 1조원(약 7억2,000만 달러) 규모의 NPL을 매각한 바 있다.

캠코, 새마을금고 NPL 2,000억원 매입한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캠코는 새마을금고가 보유한 2,000억원 규모의 NPL을 매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최근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이 급증한 만큼 NPL 매각으로 건전성 개선이 시급하다는 이유에서다. 새마을금고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과 유사한 성격의 관리형토지신탁이나 공동대출을 취급하다 일부 부실이 발생해 연체율이 급등했다. 업계에 의하면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은 지난해 말 5.07%에서 올 1월 6%대, 2월 7%대까지 급등하다가 지난달 7% 중반대까지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새마을금고는 NPL을 줄이기 위해 자체적으로 부동산 PF 사업장 정리나 채권 매각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수요자 측과의 가격 차이로 매각에 속도를 내지 못했다. 캠코가 새마을금고의 위기에 백기사로 나선 것도 이 때문이다. 캠코는 앞서 지난해 말에도 새마을금고의 NPL을 1조원가량 매입하면서 구원투수로 나선 바 있다.

NPL_MG_FE_20240425

NPL 규모 9조3,000억원? ‘백기사’ 캠코에도 부담 여전

다만 캠코의 매입액과 새마을금고 측이 원하는 액수에는 큰 차이가 있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새마을금고는 당초 1조원 수준의 NPL 매각을 원했으나, 캠코 측은 다른 업권의 부실채권 매입 규모 등을 감안해 2,000억원 수준으로 액수를 낮췄다. 새마을금고 외 저축은행의 NPL도 2,000억원 규모로 인수할 것을 협의 중인 캠코 입장에서 더 이상 부담을 가중할 수는 없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캠코의 자금 수혈 대비 새마을금고의 NPL 규모가 지나치게 크다는 점이다.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기준 새마을금고의 NPL 규모는 기업대출만 9조3,000억원(약 67억 달러)에 달한다. 캠코의 매입액은 지난해 수혈한 1조원을 합하더라도 새마을금고의 전제 NPL 규모에 미치지 못하는 셈이다.

캠코를 제외하곤 NPL을 처리할 방안이 뚜렷하지 않다는 점도 부담이다. 그간 새마을금고의 NPL 매입을 주로 담당해 왔던 자회사 MCI대부도 한계에 다다랐다. 업계에 따르면 MCI대부는 대부업법에 따라 자기자본의 10배까지 총자산을 매입할 수 있는데, 이후 증자를 하지 않는 이상 추가 매입은 어려운 상황이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새마을금고의 NPL을 전문적으로 인수·정리하는 금고자산관리회사(가칭) 설립을 타진하고 있으나, 이마저도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금고자산관리회사 설립의 경우 새마을금고법의 개정이 필요한 사안이라 실제 실행까지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국회에 따르면 지난해 8월 박성민 국민의힘 의원이 대표 발의한 ‘새마을금고법 일부개정법률안’은 지난해 11월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법안심사소위에 상정됐음에도 총선 등 현안에 밀려 연기됐다. 캠코의 물심양면에도 새마을금고 측에서 ‘부족하다’는 분위기가 거듭 감지되는 이유다.

저축은행 연체율 급등, “새마을금고 편의만 봐줄 순 없어”

그러나 캠코 입장에서도 새마을금고에만 신경 쓸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저축은행의 연체율이 급등하면서 주무부처인 금융위원회가 저축은행 관리를 우선 과제로 배치한 탓이다. 업계에 따르면 전체 저축은행 업권의 NPL 비율은 지난해 말 7.7%로 전년 대비 3.6p 급등했고, PF 연체율도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이와 관련해 한 금융업계 관계자는 “금융위원회는 현재 저축은행 연체율을 새마을금고보다 심각하게 판단해 캠코 측에 새마을금고 NPL 매입을 중단할 것을 권고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캠코가 지난해 새마을금고 NPL 1조원 매입을 추진한 뒤 추가 인수에 유보적인 태도를 보인 것도 이 때문이다.

캠코가 새마을금고의 NPL을 대규모 인수하는 데 금융업계의 불만이 쌓이고 있단 점도 난관 중 하나다. 캠코는 지난해에만 약 2조원 규모의 공사채를 발행했는데, 2021년과 2022년 각각 약 1조원의 공사채를 발행한 것과 비교하면 두 배가량 늘어난 셈으로, 이를 통해 캠코는 새마을금고에 대규모 금융 지원을 현실화했다. 이에 금융업계에선 볼멘소리가 터져 나왔다. 사실상 정부기관이 나서서 새마을금고의 편의를 봐주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한 IB(투자은행) 관계자는 “캠코가 무리하면서까지 2조원 규모의 새마을금고 NPL을 매입한다고 했을 때 왜 새마을금고의 편의만 봐주냐는 식의 불만이 나왔다”고 당시 업권의 분위기를 전했다.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