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자산 287조 새마을금고 ‘연체율 급증’, 부실 터지기 일보 직전

1
pabii research
새마을 금고 3곳 중 1곳 지난해 순손실 기록
지난달 연체율 8% 기록, PF 정리도 지지부진
금감원, 현장검사 실시 통해 부실 단속 본격화
MG_FE_230240404
MG새마을금고중앙회/사진=MG새마을금고

올해 들어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이 급격히 늘면서 부실 우려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금융당국이 지난달 말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을 가집계 한 결과 8%를 넘어선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는 지난해 7월 대출 연체율 상승에 따른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 위기 당시인 6%보다 높은 수치다.

새마을금고 1288곳 중 431곳 ‘적자’

4일 금융권에 따르면 전국 1,288곳의 새마을금고 지점 가운데 연간 당기순손실을 낸 금고는 431곳으로 파악됐다. 금고 세 곳 중 한 곳에서 적자를 내고 있다는 뜻이다. 이처럼 적자를 내는 새마을금고 수는 지난 2022년 45곳에서 1년 만에 10배 가까이 폭증한 것으로 알려졌다.

빌려준 돈을 돌려받지 못해 재정 건전성이 악화된 금고도 크게 증가했다. 금융업계에 따르면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 비율이 금융당국 권고치인 8%가 넘는 금고도 2022년 53곳에서 작년 212곳으로 4배가량 늘었다.

업계 관계자는 “새마을금고 특성상 각 지점이 독립된 법인이기 때문에 특정 금고에서 부실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곳으로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며 “다만 수십 개 금고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부실이 터지는 현상은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말 기준 연체율 8% 넘어서

새마을금고의 상황은 올 들어 더욱 악화했다. 금융당국이 올해 3월 말 기준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을 가집계한 결과 8%대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추가로 들어오는 부실채권 매각 규모에 따라 최종 연체율이 소폭 낮아질 수도 있다”면서도, “부실 채권 경·공매에 속도가 붙지 못하다 보니 예상보다 연체율 상승 폭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작년 말 기준 새마을금고의 전체 연체율은 5.07%였지만 올해 1월 6%대, 2월엔 7%대를 찍었다. 지난해 뱅크런 논란을 겪을 당시에도 6%대였지만 올해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정리가 지지부진하면서 건전성도 빠르게 악화하는 모양새다. 여기에 원리금이 3개월 이상 연체된 ‘고정이하여신’이 총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5.55%로 전년(3.05%) 대비 2.50%p 상승했다.

BANK_loan_003_FE_20240404

기업대출 연체율은 이미 10% 돌파

새마을금고 기업대출의 경우 연체율이 이미 10%대를 넘어선 것으로 파악됐다. 금융당국은 새마을금고의 연체율 상승 원인에 대해 ‘관리형 토지신탁 대출’을 지목하고 있다. 관리형 토지신탁은 부동산 PF와 달리 담보가 있어 상대적으로 안전하지만, 사업 지연이 장기화돼 연체가 발생할 경우 부실이 불가피하다는 점은 동일하다.

이에 금융감독원은 오는 8일부터 약 2주간 검사를 진행하며 새마을금고의 연체율 관리 등 건전성 부분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본다는 계획이다. 다만 금융당국의 독려에도 새마을금고 연체율을 낮추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상황이다.

금융당국의 압박에 PF 사업장 정리를 위해 충당금도 대폭 쌓았지만, 실제로는 가격 견해차로 정리 작업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사업장 경·공매 시 매매 가격의 절반 가까이 손실 보는 경우가 많다 보니 최대한 높여 부르게 된 영향이 크다. 반면 매입자들은 이보다 더 낮은 가격을 제시하면서 매각 자체가 잘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사업장 매각은 결국 심리의 문제인 만큼 사들이는 입장에서는 가격이 낮아질 것으로 전망하기 때문에 매매를 급하게 할 필요가 없다”면서 “각자 제시하는 기준(감정가) 자체도 다르다 보니 협상이 이뤄지지 못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