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채권 위기 재점화’ 새마을금고에 이어 저축은행까지 점검 확대

1
pabii research
금감원 등 예보 등과 검사협의체 구성, 새마을금고 전담조직도 신설
금융당국, 오는 8일부터 2주간 사상 처음으로 새마을금고 현장 검사
저축은행 연체율 상승·순손실 악화, 4월 중 집중 모니터링 실시 예정

최근 제2금융권의 연체율 급등과 실적 악화가 이어지자 금융당국이 집중 점검에 나서기로 했다. 이달 중 새마을금고에 대한 현장 점검을 시작으로 저축은행의 부실 채권 관리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고금리 기조와 부동산 경기 침체가 올해 하반기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제2금융권에 대한 우려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금융당국은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등 손실 가능성에 대비해 충당금을 대거 적립한 것이 실적 악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현재까지 저축은행의 자본이나 유동성에는 문제가 없다는 판단이지만, 시장에서는 줄도산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MG_FE_20240401

지난해 새마을금고 뱅크런 위기 이후 금융당국의 감독 기능 확대

지난달 31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예금보험공사, 새마을금고중앙회 등과 함께 새마을금고에 대한 현장 검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검사 기간은 오는 8일부터 2주간이며 자산 규모가 비교적 큰 개별 금고 4곳을 검사 대상으로 한다. 이와 함께 금융위원회에 새마을금고 관련 전담팀을 신설한다. 앞서 지난해 12월에는 금감원과 예보에 새마을금고 전담팀을 설치한 바 있다. 이번 검사에서는 연체율 관리 등 건전성 부분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볼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권에서는 금감원 검사 이후 새마을금고가 보유한 PF 부실채권 정리에도 속도가 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앞서 지난해 7월 새마을금고 뱅크런 위기가 발생하면서 금고에 대한 금융당국의 관리·감독이 확대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금융 부문에 전문성이 부족한 행정안전부가 금고 감독 기능을 수행하면서 건전성 관리에 한계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지난 2월 5일 금융위원회와 행안부는 ‘새마을금고 건전성 감독 협력체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제도개선, 정보공유, 검사와 그에 따른 사후조치 등 감독 과정 전반에 걸쳐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금감원·예보·새마을금고중앙회로 구성된 검사협의체를 출범했다. 이번 검사는 지난달 업무협약의 후속조치로, 새마을금고가 금융당국의 검사를 받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고금리 장기화와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해 부동산 PF의 대출 부실이 수면 위로 떠오른 가운데 새마을금고의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부동산 경기 침체가 이어지는 와중에 PF와 유사한 성격의 관리형토지신탁이나 공동대출 부실화가 연체율 상승을 부추기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은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새마을금고 연체율은 5.07%로 전년 대비 1.48%p 상승했고, 올해 1월 6%를 넘어선 데 이어 지난달에는 7%대까지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BANK_money_FE_20240329

저축은행도 부실 채권 연체율 상승에 충당금 늘리면서 손실 악화

이러한 우려는 새마을금고뿐만 아니라 제2금융권 전반으로 번지고 있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상호금융권 연체율은 2.97%로 전년 대비 1.45%p 상승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62%p 오른 1.53%, 기업대출 연체율은 2.08%p 오른 4.31%로 집계됐다. 전체 79개 저축은행 중 고정이하여신 비율이 10%를 초과한 저축은행도 전년 대비 8곳이 늘어난 21곳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전체 저축은행 업권의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전년 대비 3.6%p 급등한 7.7%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PF 연체율도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지난해 전체 저축은행의 부동산 PF 연체율은 6.9%로 자산 상위 10개 저축은행의 평균은 6.2%를 기록했다.

실적도 악화됐다. 3월 결산 경영공시를 살펴보면 지난해 전체 저축은행 중 절반 이상인 41곳이 순손실을 냈다. 10대 저축은행 중 절반인 다섯 곳이 순손실을 냈으며 이 중 페퍼저축은행이 1,072억원으로 가장 큰 규모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순손실이 100억원을 넘어선 저축은행은 17곳이며 500억원 이상은 6곳에 이른다. 저축은행의 순손실 총액은 5,559억원으로 2013년 이후 9년 만에 처음으로 적자를 기록했다. 지주계열 저축은행이 다른 계열사가 벌어들인 순이익을 부동산 PF 손실 가능성에 대비해 충당금으로 대거 쌓은 점이 순손실 확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지주계열 저축은행의 순손실 총액은 2,717억원으로 전체 순손실의 절반 수준에 이른다.

저축은행들의 건전성 지표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연체율 10% 이상인 저축은행은 14곳에 달하며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이 30%를 넘어선 곳도 있다. 이에 금융당국은 올해도 저축은행의 연체율 상승세가 이어졌을 것으로 보고, 이번 달 공개되는 1분기 연체율을 검토한 뒤 저축은행들의 연체 채권 관리 등 건전성에 대한 집중 모니터링을 실시할 예정이다.

고금리에 부동산 경기 침체 계속되면서 당분간 위기론 이어질 듯

일반적으로 금리가 급등하면 저축은행 등 상호금융권은 이자 비용이 증가하고 부실 대출로 인한 충당금 적립이 늘어나면서 수익성과 건전성이 모두 악화한다. 문제는 고금리가 한동안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하가 계속 늦어지면서 한국은행 역시 올해 하반기에나 금리를 인하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저축은행은 타 업권에 비해 PF 익스포저(위험 노출액)가 높은 데다 최근에는 시중은행과의 수신 경쟁에서 밀리고 있어 부동산 시장 침체가 장기화될수록 리스크는 커질 수밖에 없다.

특히 저축은행의 포트폴리오는 기업여신에 편중돼 있는데 이 중 부동산 관련 여신의 비중이 높아 부동산 경기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 이렇다 보니 취약차주가 많은 제2금융권의 고민은 깊어져 가고만 있다. 저축은행은 차주 대다수가 다중 채무자이거나 신용이 낮기 때문에 대출을 취급할수록 적자가 커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금융당국의 PF 정책 기조가 변화한 것도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난해 상반기까지만 해도 저축은행들은 채권 만기를 연장해 PF 부실에 대응했지만 태영건설 사태 이후 PF 사업성 평가를 강화하면서 연체율이 상승한 것이다.

이에 금감원은 저축은행의 부실채권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강화하고 부실 채권에 대한 적극적인 경·공매를 유도하고 있다. 앞서 저축은행중앙회는 표준규정을 개정하고 연체 기한이 채권 연체 6개월이 넘는 채권의 경우 3개월마다 경·공매 절차를 밟도록 했다. 공매 주기를 구체화함으로써 매각 압력을 키우기 위한 조치다. 이와 함께 지난달 29일에는 개별 은행과 저축은행에 이어 상호금융권까지 ‘예수금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본격 가동하기로 했다. 모니터링 시스템은 예수금이 사전 설정 임계치를 넘어서는 등 특이 동향이 발생할 경우 실시간으로 안내하도록 설계됐다.

다만 금융당국은 올해 충당금에 대한 부담과 연체율 상승이 불가피하지만 뱅크런이나 연쇄부도 등 시스템 리스크가 발생한 가능성은 작다고 보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지난해 뱅크런 사태는 새마을금고가 안전하다는 인식이 너무 강한 상황에서 갑자기 연체율이 오르면서 고객들의 불안이 커져 발생한 것”이라며 “지금은 저축은행 등이 연체율 상승에 대한 뉴스가 계속 나왔고 최대 5,000만원까지는 정부가 예금을 보호해 준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뱅크런으로 확산될 것으로 보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