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공산 ‘국립공원’ 승격에 ‘환호’ 쏟아지는데, 인근 부지 주민들은 “글쎄”

‘국립공원’ 승격한 팔공산, 대구시 브랜드 가치 상승 기대 팔공산, 문화경관·자연경관서 ‘우수’ 평가받아 인근 주민들은 ‘볼멘소리’, “땅 주인인데 재산권 행사도 제대로 못 해”

pabii research
팔공산 전경/사진=경북도

대구 동구의 팔공산도립공원이 23번째 국립공원으로 승격했다. 대구시는 팔공산이 국립공원으로 승격됨에 따라 도시 브랜드 가치가 상승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만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남아 있다. 팔공산 인근 부지 땅 주인들이 여전히 볼멘소리를 내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 및 지자체 차원에서 한 차례 논의를 거쳐 당락을 지었음에도 불만의 목소리는 끊이지 않는 모양새다.

환경부, 대구 팔공산 국립공원으로 승격

환경부는 23일 ‘제138차 국립공원위원회’를 개최해 ‘팔공산 국립공원 지정안’을 심의·의결했다. 지난 2021년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가 환경부에 팔공산국립공원 지정을 건의한 지 2년 만이다. 환경부는 2년여의 기간 동안 타당성 조사, 지역 설명회와 관련 지방자치단체·관계부처 협의 등을 거쳐 기존 도립공원보다 0.826㎢ 증가한 126.058㎢를 국립공원으로 지정키로 했다.

조사 결과 팔공산은 자연생태계와 자연경관, 문화경관 측면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환경부에 따르면 팔공산엔 붉은박쥐, 매, 수달 등 멸종위기종 15종 및 한국고유종인 참배암차즈기, 기후변화지표종인 개비자나무 등 야생생물 5,296종이 서식하는 등 우수한 자연생태계를 보전하고 있었다. 이는 전국 22개 국립공원 중 8위에 해당하는 정도다.

팔공산의 자연경관 역시 22개 국립공원 중 7위 수준으로 매우 빼어났다. 팔공산은 산봉(39개소)을 중심으로 기암(10개소), 계곡(19개소) 등 총 77개소의 자연경관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대표적인 자연경관(볼거리)으로 병풍바위, 염불봉 핵석, 가산바위, 치산 폭포 등이 있기도 하다.

팔공산은 특히 국립공원 중 2위에 빛나는 문화경관·가치를 지니고 있다. 팔공산엔 국가 지정 문화재 30점(국보 2, 보물 25, 사적 1, 명승 1, 중요민속문화재 1), 지방지정 문화재 61점(시도유형 34, 시도기념물 1, 시도민속문화재 1, 문화재자료 25), 등록문화재1점 등 총 92점의 문화자원이 있다. 또 팔공산 일대는 조계종 제9교구 본사(동화사) 및 제10교구 본사(은해사)가 위치해 우리나라 불교 역사·문화의 중추적 거점이기도 하다.

대구시는 팔공산이 국립공원으로 승격됨에 따라 도시 브랜드 가치 상승으로 연간 방문객 수가 358만 명에서 458만 명까지 약 28%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관련해 홍준표 대구광역시장은 “대구 미래 50년을 책임지고 대구 굴기의 초석이 될 경북통합신공항의 새로운 하늘길이 열리면 팔공산 탐방객이 더 많아질 것”이라며 “팔공산을 국가적 자산으로 관리함으로써 미래세대까지 팔공산을 누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힘줘 말했다.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에 따른 기대효과/출처=환경부

대구시, 국립공원 승격 노력 빛 발했다

그간 대구시는 팔공산을 국립공원으로 승격시키기 위해 갖은 노력을 다해왔다. 국립공원 승격 시 따라오는 예산·인력 확충으로 팔공산의 자연적·역사적 가치 보존이 보다 수월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팔공산의 관리 주체가 대구시와 경북도에서 국립공원공단으로 바뀌면 예산은 연간 99억원에서 183억원으로 1.8배까지 늘어난다. 관리 인력도 94명에서 143명으로 1.5배 이상 확대된다. 특히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의 경제적 가치는 약 5,223억원으로 추산된다. 기존 팔공산 도립공원의 가치 2754억원과 국립공원 승격시 1.9배의 경제적 가치가 증가한 것을 합산한 수치다.

대구시는 지난 3월 최대 난제로 꼽히던 부지 편입·배제 문제를 해결하기도 했다. 팔공산의 국립공원 승격에 대한 보다 확고한 의지를 드러낸 셈이다. 대구시는 도로 환경 개선 및 주차장 신설 등 인프라 개선을 지자체 주도로 추진하는 등 방안을 각자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당시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반대위원회’의 최성덕 위원장은 “국립공원 승격 과정에서 이해관계로 얽힌 토지들이 있는데, 지주들의 요구를 모두 수용하기로 환경부와 합의했다”며 “더는 반대할 명분이 없다”고 밝혔다.

환경·시민단체도 힘을 실었다. 정수근 대구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이번 기회에 지역 주민들도 만족하는 산이 되었으면 좋겠다”며 “국가가 체계적으로 관리해 보존하면 관광객들도 더 많아질 수 있어 주민들에게도 결코 손해되는 결과는 아닐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이어 “팔공산이 전국적으로 국립공원의 위상이 높기 때문에 전국 국민들이 찾아오는 명소가 될 수도 있을 것 같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넘어야 할 산은 여전히 남아 있다

다만 여전히 팔공산 부지 땅 주인들은 팔공산의 국립공원 승격에 반발하고 있다.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부지는 차후 개발 행위를 하는 데 제한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구시에 따르면 현재 약 2,300명이 공원 부지 면적의 약 63%를 소유하고 있다.

물론 앞서 언급했듯 정부 및 지자체와 인근 부지 땅 주인들은 한 차례 논의 끝에 분쟁에 매듭을 지은 바 있다. 그러나 이것이 인근 부지 땅 주인 모두의 불만을 해소해 줄 수 있는 건 아니었다. 여전히 볼멘소리가 여기저기서 터져 나오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인근 땅 주인 A씨는 “팔공산이 도립공원 구역으로 묶여 있던 수십 년 동안 땅 주인들이 재산권을 제대로 행사하지 못했다”며 “국립공원으로 승격되면 땅값이 더 떨어질까 봐 걱정된다”고 토로했다. 사유지만 63%에 달하는 상황에서 정부가 어떤 방향으로 피해 보상 절차를 이어 나갈지, 이목이 집중된다.

Similar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