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日오염수 방류 후 100년 살아도 영향없다는데?

정용훈 카이스트 원자력양자공학과 교수, 후쿠시마 오염수 한국인에 큰 피해 없다 후쿠시마 해변에서 수 킬로미터만 떨어져도 한강물과 크게 다르지 않아 민주당 “외교적으로 실익도 명분도 잃은 협상 됐다” 비판

pabii research
지난 1일간 ‘오염수’ 관련 키워드 클라우드/출처=데이터 사이언스 경영 연구소

20일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의원총회 강연에서 정용훈 카이스트 원자력양자공학과 교수는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가 국민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정 교수는 “티끌이 태산이 되려면 티끌을 태산만큼 모아야 하지만 티끌은 모아봐야 티끌”이라며 “오염수가 방류되고 100년을 살아도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밝혔다.

정용훈 카이스트 원자력양자공학과 교수/사진=KAIST

티끌은 모아봐야 티끌?

정 교수는 “후쿠시마에서 수 ㎞만 가면 희석되고, 1ℓ(리터)에 1베크럴 삼중수소가 나온다”면서 “당장 한강 물 떠서 측정하면 1ℓ에 1베크럴 나온다”고 주장했다. 이어 “중국에서도 (삼중수소를) 방류하는 데 후쿠시마 오염수의 50배 정도를 방류하고 있다”라면서 “우리나라도 (방류를) 하고 있고, 그로 인한 영향은 사실 없으며 총량을 따지면 미미하다”고 설명했다.

최근 삼중수소 우려에 따른 소금 품귀 현상에 대해서도 “삼중수소는 소금에 남아있지 않고, (삼중수소는) 물”이라며 “물 증발할 때 같이 증발하고, 소금에서 물 찾겠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국인 식단을 미뤄봤을 때 한국인이 1년간 피폭되는 방사능은 어느 정도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우리나라 청정 식단을 통한 음식 방사선 피폭량이 연간 500마이크로시버트”라며 “후쿠시마 생선만 1년 내내 먹었다고 가정한 피폭량은 1마이크로시버트의 100분의 1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어 “WTO(세계무역기구)에 제소당했을 때, 우리나라는 1심에서 후쿠시마산 수산물의 위험성을 입증할 수 없어서 패소했지만, 2심에서는 위험성을 언급하지 않아서 이겼다”며 “우리 바다와 사고가 난 바다가 다르기 때문에 검역도 달라야 한다는 논리였는데, 방류로 인해 이러한 논리는 더욱 강화된다”고 주장했다. 민물과 바닷물의 차이에 대한 지적과 함께 “우리는 민물에서 (방사능을) 섭취해 왔고, 아무 문제 없이 살아왔다”며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이후) 100년을 살아도 영향받을 일은 전혀 없다”고 덧붙였다.

오염수 논란 끝낼 수 있을까?

정 교수의 발표가 끝나자 국민의힘 의원총회장에서는 우레와 같은 박수가 쏟아졌다. 행사장 밖의 한 국민의힘 관계자는 “이번 발표를 통해 좌파 측에서 주장해 온 오염수 논란을 끝낼 수 있을 것”이라는 낙관적인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관계자는 정용훈 카이스트 교수가 윤석열 대통령의 인수위에 참여했던 경력을 지적하며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햇다. 정 교수는 윤석열 대통령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에너지 분야 전문위원으로 위촉된 데 이어 지난해 12월에는 고리2호기 계속 운전에 대해 원전 반대 주장을 일축하면서 논란을 낳은 바 있다.

한편 김기현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안전성 논란이 일단락됐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피력하면서도 같은 이유로 후쿠시마산 어류를 국내에 수입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이에 국민의힘 관계자들은 일본과 외교적으로 불편한 일을 겪더라도 당장 국내 정치권의 논란을 차단하기 위해 적절한 정책이라는 반응이다.

지난 1일간 ‘오염수’ 관련 키워드 네트워크/출처=데이터 사이언스 경영 연구소

정쟁으로 번진 과학 논란, 이번이 처음 아냐

익명을 요구한 한 원자력 관련 전공 교수는 후쿠시마 오염수 방출로 인한 삼중수소 논란이 되는 것 자체가 한국의 지적 역량을 보여주는 것 같아 논란 기사를 보며 불편함이 가중됐다고 밝혔다. 이어 삼중수소 그 자체가 논란의 핵심이 되는 것이 아니라 일본이 오염수 관리에 한국의 역할을 어디까지 인정해 줄 것이냐는 부분, 국제 공조를 통해 주기적인 감시를 이어 나가 해양 생태계에 피해를 끼치지 않도록 관리하는 부분이 초점이 맞춰졌었어야 하는 사안이라고 지적했다.

국민의힘 관계자들은 지난 이명박 정권 내내 정책 동력에 방해가 됐던 광우병 논란과 유사한 상황이라고 입을 모은다. 과학적으로 전문가들이 나서서 문제가 없음을 여러 차례 지적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민주당이 ‘꼬리잡기’를 하고 있다는 것이다. 반면 민주당 관계자들은 대일 외교에서 실익 없이 명분마저 내주는 선택이었다며 이번 정권의 외교적 무능을 지적한다. 오폐수 방출이 바다에 대한 일종의 공동 소유권에 대한 침해임에도 불구하고 전혀 외교적인 이득을 얻지 못했다는 것이다.

국내 언론, SNS, 커뮤니티 등을 통해 본 인터넷 여론은 두 갈래로 나뉘어 있다. ‘오염수’ 기준 관련 키워드 그룹으로 ‘국민의힘’ 지지층은 자세한 언급을 피하고 최근 대통령 발언으로 논란이 됐던 수능의 ‘킬러문항’ 관련 사안만 언급하고 있는 반면(이상 붉은색 키워드 그룹), ‘민주당’ 지지층은 ‘원전’, ‘방사’, ‘소금’, ‘동의’ 등으로 좀 더 직접적인 언급을 이어간다(이상 녹색 키워드 그룹). 여론 상황을 들은 국민의힘 한 관계자는 “우파는 더 이상 논란을 만들고 싶어 하지 않는 반면, 좌파는 소금 대란 등으로 본 건을 확산시키려고 하는 것을 잘 보여준다”고 논평했다.

Similar Posts